누구를 위한 ‘SAVE 법안’인가?

하원 위원회 심의를 거치지 않고 표결 될 수 있어

교차로 5-27-08 p.1, p.4

지난 11월 텔마 드레이크 연방하원의원 (공화, 버지니아)은 국경 수비 강화와 불법 취업 근절을 목표로 하는 법안 (H.R. 4088, Secure America through Verification and Enforcement Act, 일명 SAVe법안)이 하원의 여러 위원회 심의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의결 될 수 있도록 청원서(Discharge petition)를 제출했다. 이민권익단체들은 H.R. 4088 이 실제로 통과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이를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Housing, Civil Rights Advocates and Elected Officials Unite to “Get Out the Vote” to Defeat Prop. 98

LOS ANGELES – Mayor Antonio Villaraigosa and the LA City Council have united with seniors, tenant rights groups, unions and civil rights advocates to oppose Proposition 98, which aims to eliminate rent control, eviscerate local land use rules, gut environmental protections and undermine public water projects. Prop. 98 holds out the false promise of “eminent domain” reform, but instead obliterates Californian’s rights to fair housing.

민족학교 설립 25주년 및 5.18 광주민중항쟁 28주년 기념 국제 심포지움 개최 및 문화공연 기자회견 취재요청의 건

2008년 5월 27일 (화)
취 재 요 청 서
수 신: 각 언론사
발 신: 민족학교 김용호 시민참여 코디
제 목: 민족학교 설립 25주년 및 5.18 광주민중항쟁 28주년 기념 국제 심포지움 개최 및 문화공연 기자회견 취재요청의 건

안녕하십니까?
민족학교와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이하 미교협)은 5.18기념재단, 재미한국청년연합과 함께 오는 5월 31일 (토요일) 민족학교 설립 25주년 및 5.18 광주민중항쟁 28주년 기념 “이주 이민자의 인권현황 및 사회적 권리 보장 모색을 위한 국제 심포지움”을 개최합니다.

이번 심포지움에서는 5.18 광주민중항쟁에서 피어나 오늘날까지 재미동포사회에 계승되는 오월정신을 담은 영상, 풍물, 춤이 어우러진 문화공연 “봄… 꽃… 길”을 공연하며, 청소년들은 에니메이션을 제작하는 등 다채로운 문화체험을 맛 볼 기회가 제공됩니다. 이와 같은 문화 부문에 대하여 자세히 소개하는 기자회견을 갖고자 하오니 부디 참석하셔서 널리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민족학교, 시민권 선서장에서도 유권자 등록 캠페인

라디오코리아 5-20-08

[audio:http://krcla.org/blog/wp-content/uploads/2008/05/2008-05-20-radio-korea-...

2008 대선 열기가 뜨거워지면서 유권자 등록 캠페인 활동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민족학교는 라디오 코리아 특별 후원으로 시민권 선서식장에서 부스를 마련해 유권자 등록을 독려하는 한편 전화걸기 캠페인도 동시에 실시해 한인 유권자의 목소리를 높인다는 계획입니다. 신준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윤한봉 선생이 우리에게 남겨준 소명

우리가 민족민주통일운동에 참여하는 것은 조국에 대한 향수나 단순한 민족애에 의한 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이민자로서 이 땅에 자자손손 뿌리를 내리고자 하는 사람들입니다. 하지만 자칫 잘못하면 극대화한 자본주의와 개인주의로 인해 자기 정체성을 잊어버리고 이웃과 사회 심지어는 부모, 형제자매까지도 외면할 수 있습니다. 자신만의 무사안일한 개인적 성공의 장미빛이 우리를 끝없이 유혹하기 때문입니다.

Remembering Yoon Han Bong

I first met my "sunbaenim," (senior brother) Yoon Han Bong in May of 1983, when I was a foreign graduate student in New York. I met him with a group of students concerned about the path of our homeland. We were urban and full of intellectual pretentiousness; we thought we would meet a guy in a suit, with a refined speech. When he walked in, he did not look like what we expected at all... he resembled a handyman idling around Seoul's Union Station, with rugged hands. I thought: "this can't be him, right? Is someone else coming behind him?" and looked for others. Sometimes I remember that first encounter as if it happened yesterday.

The Legacy of 5.18 People's Uprising and Yoon Han Bong: The Work that Lies Ahead

We do not participate in the movement for Korea's democracy and reunification merely out of patriotic longing or a burst of nationalism. We are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the epicenter of capitalism, seeking to lay our roots here for generations to come. A society built on individualistic values may lead us to into forgetting about our own identity as Korean Americans, dismiss our neighbors and society in general - even our parents and siblings. We may be drawn to worry solely for our own well being and personal success. To do so will weaken our human spirit and prevent us from laying our roots in this land and passing on a prosperous future for our children.

Páginas

Suscribirse a Korean Resource Center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