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애원' 외면하는 정치인

대문의 주인공은 공화당 하원의원인 에드 로이스다. 그의 지역구는 남가주 풀러턴과 다이아몬드바 등 한인 거주지역이다. 2007년 위안부 관련 결의안이 하원에서 통과하도록 도와 일부 한인 언론은 그를 '한인의 대변자'라 부른다. 문 밖에는 청년과 어머니, 그들의 친구가 쪼그리고 앉아있다. 손에 쥐고 있는 종이에는 '드림액트에 공동 서명해 달라(CO-SPONSOR DREAM ACT)'라는 구호가 쓰여있다. 그들은 불법 체류 청소년 유예프로그램 다카(DACA)가 폐지되면서 졸지에 불법체류자 신세에 놓인, 놓일 한인 청년과 그들의 가족들이다. 그들은 석 달째 다카 대체 법안인 드림액트에 공동서명해달라고 의원에게 면담요청을 했다. 전화도 하고 편지도 썼다. 하지만 그는 만나주지 않았다. 

Thank You for Supporting Our 34th Annual Gala - We Raised $120,000

Thank you so much for your support of the National Korean American Service & Education Consortium (NAKASEC) and the Korean Resource Center (KRC)! With your contribution, we are able to empower marginalized communities and at this year’s "Building A Movement for Change: From Roots to Power 34th Annual Gala", we have received pledges up to $120,000.

"시간이 없다" 얼바인 월터스 의원실서 드림법안 촉구 집회 열려

민족학교는 노동단체, 이민자권익 단체  SEIU-USWW, OCCCO, CHIRLA 등과 함께 얼바인에 위치한 미미 월터스 연방 하원 의원 (45지구)의 의원실에서 집회를 열고 월터스 의원에게 드림법안 지지를 요구했다. 월터스 의원은 드림법안을 지지하고 있지 않지만 지역구의 아시안 및 라티노 유권자 비율을 보았을 때 표를 움직일 수 있다는 계산이 나와 이민자권익 단체들의 주요 설득 대상 중 하나로 지목 된 상태이다. 집회 참가자들은 아침 건물에 들어가 드림법안 지지 촉구를 요청하는 2,000명 지역구 유권자들의 엽서 카드를 전달했으며, 의원실을 점거 한 후 드림법안 지지 표명을 할 때 까지 나가지 않겠다고 하다가 민족학교의 윤대중 회장이 경찰에 연행되었다. 윤대중씨는 이후 얼바인 경찰소에서 풀려났다. 참가자들은 "시간이 얼마 없다. 이민자 청년들을 위해 드림법안을 연내로 통과시키자"라고 이구동성으로 말했다.

OC Register: DACA recipients turn up the pressure on Mimi Walters, local Congress members

Walters and Royce, whose districts both have public universities and and community colleges, have been particularly targeted by activists. Their districts have considerable Latino and Asian populations, which are among the most fervent supporters of DACA. Royce’s district is 34 percent Latino and 32 percent Asian. Walters’ district is 18 percent Latino and 44 percent Asian. The Korean Resource Center has co-sponsored the three DACA demonstrations at Walters’ office this month, as well as last month’s rally at UC Irvine. “KRC has focused more on Walters because she hasn’t taken a stance (yet) on citizenship and she represents a district with a large number of DACA eligible young people,” said Kim, who is hoping Walters can be persuaded to support a path to citizenship for DACA recipients. Royce has said he favors allowing those currently protected by the program to remain legally in the country, but opposes a path to citizenship.

기금 만찬을 후원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분의 후원으로 저희가 커뮤니티를 위해 활동할 수 있습니다. 이번 “함께 일구는 미국의 미래" 연래 만찬행사에서는 후원금과 약정을 포함, 12만 달러 이상을 모금하였습니다.이번 만찬행사에는 제임스 어바인 재단의 대표인 돈 하워드씨가 초청되어 소수인종 커뮤니티의 힘찬 여성 리더쉽을 보여 준 맥신 워터스 연방하원의원 (43지구), 루이사 블루 전미서비스노조(SEIU) 부회장, 쟈넷 바스케즈 플러튼 교육위원 및 세 명의 청년지도자 사미라 하에크, 김현중, 양은수씨에게 상을 수여하였습니다. 저희 만찬에 이러한 커뮤니티 리더들이 참여할 수 있어 큰 영광이었습니다.

“청년들의 미래 위해 드림법안 지지하라” 얼바인 주민 요구해

미미 월터스 연방하원의원에게 드림법안 지지를 촉구하는 30명의 유권자, 학생, 그리고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의원 사무실 밖에 모였다. 그들은 답을 원했다: 의원은 드리머들의 미래를 논의하기 위해 유권자들과 만날 것인가? 드림법안을 지지 할 것인가? 왜 유권자들로부터 도망치는가? 민족학교를 비롯해 OCCCO, SEIU-USWW, CHIRLA 등 지역 커뮤니티 단체들이 주최한 이번 행사에서는 아시안, 라티노, 흑인 및 백인 주민들이 인근 상업 지구를 내려다보는 거대한 유리 건물의 입구를 반 아치 모양으로 둘러서 있었다. 길 건너에서는 스타벅스, 와후 피시 타코집에서 잠시의 아침 여유를 즐기던 주민들이 주차장에서 집회 인파를 신기한 듯 바라보고 있었다. 이 건물 안에 의원의 사무실이 위치 해 있는 것이다. 집결한 이들은 “미미 월터, 우리와 만나라! 만나라”를 외치고 있었다. “우리는 무엇을 원하는가? 드림법안을 원한다!”

Irvine Residents Ask Walters: Rise in Support of Dreamers

Over 30 voters, students, and community members in support of the DREAM Act rallied outside the office building of U.S. Congressmember Mimi Walters. Voters were seeking answers from their representative - will she meet with the community to discuss the fate of the dreamers? Will she support a clean DREAM Act? Why is she avoiding the issue? Jonathan Paik, OC Director at KRC said “We reached out to 5,110 Asian American voters in Representative Walter’s district, and 74% have said that they urge their congressmember to vote for a Clean DREAM Act. We are baffled at Walter’s lack of responsiveness to this pressing community issue. The DREAM Act is a strong legislative solution that would allow young immigrants to continue living their American Dream with a path to citizenship. It only makes sense to support the bill.”

Páginas

Suscribirse a Korean Resource Center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