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학교가 2020년 봄을 맞이해 처음으로 성인을 위한 풍물 학교를 민족학교 풀러턴 사무실에서 개최한다. 장구와 북, 꽹과리 등 악기는 민족학교에서 제공한다. 전통음악인 풍물은 놀이와 굿 형태로 민중의 삶 속에서 변화, 발전해 왔다. 한인 이민자들은 풍물의 쨍쨍거리는 쇳소리와 자갈자갈 끓는 장구 가락을 통해 이민 생활로 지친 일상의 스트레스를 풀 수 있다. 풍물지도는 수년간 축제 현장과 이민자 권익 집회에서 풍물을 친 민족학교 실무진들이 맡는다. 윤대중 이사는 “풍물은 한인의 신명을 상징한다”며 “긴장과 이완이 반복하는 우리 가락을 통해 가슴에 응어리진 한을 풀 수 있다”고 말했다. 또 “풍물은 음악이면서 몸을 움직이는 춤과 같다”며 “이런 교감을 통해 풍물이 지향하는 대동(大同) 신명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업은 2월 8일부터 8회차로 진행된다. 참가자 학습 속도에 따라 사물놀이의 기본 장단인 굿거리, 2채, 3채와 노래와 구호 등을 배운다. 민족학교는 참가자가 중간에 강의를 빠지더라도 수업에 충분히 따라갈 수 있도록 지도할 예정이다.


민족학교가 여러분을 와인 시음 기금 모금 행사 에 초대합니다!
A mix of horror and hope as the "comfort women" struggle to return to their lives, after their traumatic years as sex slaves.
서부나 동부 사람들은 대부분 중서부에 대해서 고리타분하고, 대중문화 트렌드에 뒤쳐지고, 그리고 매일 매일 할일도 없는 지루한 지역이자 보수적인 백인들이 우글우글한 지역으로 상상하기 마련이다. 이 중 내가 가장 큰 문제로 보는 견해는 이 지역에 아시안 아메리칸 및 한인 커뮤니티의 존재감이나 이들 커뮤니티를 위한 사회 인프라가 전무하기 때문에 아시안 아메리칸 및 한인들은 중서부에 자리를 잡거나 계속 살아갈 이유가 없다고 보는 견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