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단체들 이민악법 저항운동 동참...주말 반대집회 적극 참가키로

LA한인회(회장 이용태)가 22일 긴급 한인단체장 회의를 소집 오는 주말(25 26일) LA다운타운 일대에서 열리는 반이민정책 저항운동〈본지 3월 22일자 A-5면>에 범 커뮤니티 차원의 동참을 결의했다.

한인회 강상윤 이사장 주재로 열린 이날 회의에서 윤호웅 남가주 한인 봉제협회장은 "일명 '센센브레너 법안'이 실제로 발효되면 다운타운 일대 한인 의류업체들은 모조리 폐업하게 될 것"이라면서 불체자 및 지원자들을 형사처벌하는 '국경보호. 테러방지. 불법이민 통제법안'(HR 4437)에 대한 우려가 업계 현장에 절박하게 퍼져있음을 밝혔다.

이에 따라 각 단체장들은 회원 및 관계자들이 오는 주말 집회에 최대한 많이 나설 수 있도록 홍보에 힘쓰기로 하는 한편 이민개혁 정책에 대한 각계의 이해를 높이는 일에 나서기로 했다.

또한 남가주 한인교회협의회 산하 각 교회들은 긴급 연락을 통해 교인 및 교역자들의 시위 참여를 독려하기로 했다.

이민악법 종교계가 나섰다. 각 단체와 함께 25,26일 집회

이민개혁 캠페인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던 한인 종교계가 불법체류자와 그들을 돕는 사람을 형사처벌하는 '국경보호. 테러방지. 불법이민 통제법안'(센센브레너 법안. HR 4437) 등 반이민 정책에 대한 불복종운동 동참을 선언했다. 또한 LA한인회(회장 이용태)는 다음주 '반이민악법 저지를 위한 긴급 단체장 회의'를 소집해 HR4437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힐 계획이다.

남가주 한인 사제협의회 마르코 박 신부는 17일 기자회견을 통해 "창조주의 관점에서 우리 모두는 이땅의 불법체류자"라며 "한인사회단체들과 타인종 이민기구들이 주도하는 이민개혁 촉구활동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한인회 조동진 사무국장은 "남가주 한인의 1/5이 불체자로 추산되는 현실에서 HR4437은 커뮤니티 전체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라며 "범 커뮤니티적인 반이민정책 저항운동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보건정책 공청회 참석 한인 노인들 '한국처럼 만들어줘요' 한 목소리

"복잡하구먼. 복잡해. 병 고치러 병원에 가서는 병을 얻어 돌아오겠어."

4일 LA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연방정부 보건정책 공청회에 참석한 홍순모(65.LA) 할아버지는 정부의 보건의료 제도 운영상황에 대해 '일관되고 명확한 방향 제시가 없는 가운데 주민 혼란을 가중시키는 총체적 난관에 처해있다'고 지적했다. 홍 할아버지 등 한인 노인들이 체감하고 있는 현행 보건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은 '복잡성'이다.
메디케어와 메디캘 사설 보험에 모두 가입한 경우라도 치과와 안과 등 진료과목별로 해당사항이 다르고 HMO와 PPO 등으로 분화된 실행 과정 때문에 적합한 의료 서비스를 받기위해서는 번거롭고 어려운 절차를 거쳐야한다는 것이다.

한인들에게는 중산층을 위한 배려도 보건당국에 대한 큰 아쉬움이었다.
최영(60.LA) 할머니는 "고소득층은 사설 건강보험에 가입할 수 있고 저소득층은 메디케어나 메디캘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지만 정작 양쪽에 속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의료비용 지출이 가계에 막중한 부담이 된다"며 중간소득 계층을 위한 정책개발 필요성을 강조했다.

"의료제도 개혁을 위한 LA 대토론회" 참석

“복잡한 의료제도 이용 겁나요”

“모든 주민에 기본 서비스 제공” “이해쉽게 통합운영”등 의견제시

“너무나 복잡해 이해하기도 어렵습니다” “어떤 플랜을 가입해야 더 좋은 것인지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아요” “디덕터블이 너무 비싸 의료보험이 겁나요”

지난 4일 LA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전국민을 위한 미국 의료제도 개혁 - LA지역 커뮤니티 대토론회’에는 현 미국 의료제도의 모순과 불합리에 대한 500여 주민들의 불만이 쏟아졌다. 24명이 참석한 한인들도 저마다 자신들이 겪은 불편함을 호소하며 연방정부 차원의 시급한 개혁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한인 김연애 할머니는 “메디케어가 왜 이리 복잡한지 모르겠는데 또 제도가 바뀌었어요. 파킨슨씨 병을 앓는 남편의 약복용에 무엇이 더 유리한 지 모르겠다”고 불편을 호소하며 “좀 간단하고 알기쉽게 제도를 만들면 좋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민족학교엔 ‘천사들의 리스트’

게시판에 기부목록 빼곡
찐고구마·계란·쌀 등
70~80년대식 인정 물씬

민족학교 사무실 게시판에는 ‘도움 주신 분들’이란 제목의 목록표가 걸려 있다. 도움을 준 이들의 고마움을 잊지 않기 위한 이 목록에는 2004년부터 현재까지 기부받은 물품이 빼곡이 적혀 있다. 이들 물품이 남다른 것은 21세기에도 70, 80년대 한국의 훈훈한 사람냄새를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목록에서 사람의 눈을 한 눈에 잡아끄는 것은 가자미 구이. 직접 요리를 해서 식기 전에 가져 온 가자미 구이에는 온정이 듬뿍 담겨 있다. 먹거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들 목록에는 찐고구마, 계란 2판, 참깨, 떡 등을 비롯해 참외, 딸기 등 과일도 많다. 이외에도 팽이와 제기, 중고 옷도 남다른 기부 물품이다.

민족학교의 윤희주 프로그램 디렉터는 기부 물품으로 먹거리가 많은 데 대해 “어른들 눈에는 봉사하는 일꾼들이 부실하게 보이는 듯 하다”며 “밥심으로 일하라”고 격려를 아끼지 않는다고 말한다.

Call-In Action to Your Senator About Comprehensive Immigration Reform

We start making DAILY calls to both our Senators and White House to make sure that they are hearing from their pro-immigrant constituency. Just like we take time each day to drink our coffee, everyone around the table pledged to take 3 minutes of their day to make 3 phone calls. In addition, each person will get 8-10 other people to make the same pledge so that at least 100 phone calls are being made each day. We will start making calls on Monday, February 20 till the end of March.

Congress is in recess for the next 10-days so the district numbers are listed below.

Páginas

Suscribirse a Korean Resource Center RSS